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료형타입
- unrealengineai
- leveleditor
- 각도변환
- 게임엔진튜토리얼
- c++class
- c++용어정리
- 언리얼엔진5
- 언리얼엔진공부
-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 프로그래밍
- c언어정리
- c++porinter
- livrary
- 언리얼비헤이어비어트리
- uaiperception
- 언리얼엔진
- 월드아웃라이너
- 자료구조정리
- 프로그래밍일기
- 자료구조
- 게임개발
- c++
- 언리얼ai
- 영단어정리
- 수학용어정리
- DX
- bttask
- directx
- 25.06.11dir
- Today
- Total
루리코딩 세상
확장자 명에 따른 프로그램 유형 본문
확장자 명 | 프로그램 유형 |
.INI (initialization) |
텍스트 파일, 키와 값을 연결하여 설정을 저장한다. 각 설정은 '[섹션]'과 키 = 값 형태로 구성된다. ex : [Database] 섹션 안에 Server = 192.168.1.100과 같은 설정이 있을 수 있음 사용 목적 : 프로그램의 설정, 시스템의 구성,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 INI 파일은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편집 할 수 있다. 유사 역할 : .cfg, .ini, .conf |
UASSET (Unreal Asset Data) |
언리얼 엔진에서 에셋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확장자이다. 언리얼 엔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요소들(머티리얼, 스태틱 메시, 텍스처, 파티클 시스템, 블루프린트, 사운드 큐 등)을 통틀어 에셋이라고 하며, 이 에셋들은 .uasset 파일에 저장되어 관리한다. |
UPack (Portable Executable) |
파일 압축도구이다 PE 헤더를 변형하여 파일을 압축하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PE 유틸리티에서 정상적으로 파일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서 압축된 파일은 악성 코드나 악성 파일로 간주될 수도 있다. - PE 헤더 변형 : PE 헤더의 특정 부분을 변형한다.(ex: IMAGE_OPTIONAL_HEADER의 SIZE) - 압축 기능 : 파일을 압축하여 실행 파일의 크기를 줄여준다. - 악성 코드 연관 : 악성 코드를 실행 압축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
DLL .dll (Dynamic Link Libray)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공유 라이브러리다. DLL파일에는 코드, 데이터, 자원 등이 포함되어있으며,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코드 재사용성 : 저장된 함수나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에서 쉽게 재사용 할 수 있다. ■ 메모리 효율성 : 코드 재사용성을 높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여준다. ■ 모듈화 : 코드를 모듈화 하여 관리 및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 런타임 로딩 : 런타임에 메모리를 로드되어 사용한다. 활용 방안 예시 장치 드라이버 : 장치 드라이버는 DLL 파일로 제공되어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장치와 통신 할 수 있도록 한다 COM (Component Object Model) 객체 : COM 객체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상호 작용을 가능 윈도우 API : Windows OS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DLL파일에 저장된 API 함수를 활용 DLL과 EXE의 차이점 DLL은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공유 라이브러리이다. EXE는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다. EXE 파일은 DLL에 저장된 함수나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로드하여 사용한다. |
EXE (Executable) |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을 나타내는 확장자이다. 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에서 사용되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거나 실행하는 데 사용된다. EXE 파일은 운영체제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실행 될 수 있는 파일 형식이다. |
.dat (data) |
일반적인 데이터 파일을 나타낸다. 파일의 내용이나 구조가 정해진 규칙이 있는 형식이 아니기 때문에, 프로그램마다 해석 방식이 다르다. 정의 : 어떤 형식의 데이터든 담을 수 있는 범용 확장자로 파일의 내용이 텍스트, 바이너리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기에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로하다. 바이너리 데이터는 Hex Editor나 해당 프로그램이 필요로 한다. |
PE(Portable Executable) 헤더
윈도우에서 실행 파일, DLL, object 코드 등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 헤더이다.
주로 PE파일이 어떤 종류의 파일인지, 어떻게 메모리에 로드해야하는지, 그리고 데이터와 코드의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가 들어있다
PE 헤더 : PE 파일의 맨 앞에 위치하며, 파일의 구조, 크기, 시작 주소, 섹션 정보 등을 담고있음
PE 헤더의 구성
IMAGE_DOS_HEADER : DOS 실행 파일 헤더를 확장한 구조체로, DOS 머신에서 PE 파일을 실행하기 위한 정보가 들어있음
IMAGE_NT_HEADERS : NT 헤더로, PE 파일의 주요 정보가 들어있음.
DOS Stub : DOS 머신에서 PE 파일을 실행할 때 필요한 코드
PE HEADER 의 역할
- 윈도우 로더가 PE 파일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실행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파일의 구조를 파악하고, 데이터와 코드의 위치를 찾게해준다
- .DLL이나 Object 코드를 로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실행 파일이나 DLL을 분석하고, 실행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시코드(Hashcode) (1) | 2025.05.27 |
---|---|
Deadlock (교착 상태) (0) | 2025.05.26 |
CPU Register (0) | 2025.05.14 |
캐시 메모리 (Cache memory) (1) | 2025.05.14 |
Virtual memory, Virtual storage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