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bttask
- c++class
- 게임개발
- 자료구조
- 언리얼엔진5
- c++용어정리
-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 언리얼비헤이어비어트리
- c++porinter
- 수학용어정리
- uaiperception
- directx
- unrealengineai
- DX
- 자료구조정리
- 자료형타입
- 영단어정리
- c언어정리
- 게임엔진튜토리얼
- 25.06.11dir
- 언리얼엔진
- c++
- 언리얼ai
- leveleditor
- 언리얼엔진공부
- 프로그래밍일기
- 프로그래밍
- 각도변환
- livrary
- 월드아웃라이너
Archives
- Today
- Total
루리코딩 세상
ID3D11_DeviceContext _인터페이스 본문
(ID3D11Device) -> (ID3D11DeviceContext) -> (adapter) 의 통로 구조를 이해하자.
Direct3D 초기화의 시작은 Direct장치(ID3D11Device)와 그 문맥(DeviceContext)을 생성하는 것이다.
물리적인 그래픽 장치와 소프트웨어 제어기를 생각하면 조금 이해가 된다.
Device는 외장 그래픽카드, 내장 그래픽 카드 등이 될 것이고,
DeviceContext는 현재 내가 프로젝트 예제로 명령어편집기를 통해서 작성하고 있는 문법
응용 프로그램들은 이 인터페이스들을 통해서 하드웨어에게
- GPU 메모리 자원 할당
- 후면 버퍼 지우기
- 자원을 여러번 파이프라인 단계에 묶기
- 기하학 구조 그리기 등 의 역할을 지시할 것이고,
DeviceContext 인터페이스는 랜더 대상을 설정하고, 자원을 그래픽 파이프 라인에 묶고,
GPU가 수행할 렌더링 명령들을 지시하는데 쓴다.
HRESULT D3DllCreateDevice(
IDXG工Adapter *pAdapter,
D3D_DRIVER_TYPE DriverType,
HMODULE Software,
UINT Flags,
CONST D3D_FEATURE_LEVEL *pFeatureLevels,
UINT FeatureLevels,
UINT SDKVersion,
ID3DllDevice **ppDevice,
D3D_FEATURE_LEVEL *pFeatureLevel,
工D3DllDeviceCᄋntext **pp工mmediateCᄋntext
);
'이론 > Direct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적 처리 방식에 따른 연산 개념 정리 (~rise) (2) | 2025.06.09 |
---|---|
랜더링 파이프라인 (2) | 2025.06.07 |
DirectX : SwapChain 구조체, Factory 생성 및 Device 불러오기 (0) | 2025.06.07 |
싱글, 더블 버퍼링(Single Buffering, Double Buffering) (0) | 2025.06.03 |
DirectX 관련 키워드 및 개념 요약 정리해두기 (1)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