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언리얼엔진공부
- c++porinter
- 수학용어정리
- 프로그래밍일기
- 자료형타입
- bttask
- 언리얼엔진5
- 게임개발
- 언리얼비헤이어비어트리
- 프로그래밍
- 자료구조정리
- c언어정리
- unrealengineai
- c++용어정리
- 게임엔진튜토리얼
- ipc(inter process communication)
- 언리얼엔진
- uaiperception
- DX
- 언리얼ai
- directx
- c++class
- 25.06.11dir
- livrary
- 영단어정리
- leveleditor
- 각도변환
- c++
- 월드아웃라이너
- 자료구조
- Today
- Total
목록2025/05/14 (5)
루리코딩 세상

메모리의 스택(stack) 영역은 함수의 호출과 관계되는 지역 변수와 매개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다.스택 영역은 함수의 호출과 함께 할당되며, 함수의 호출이 완료되면 소멸한다 함수가 호출되면 스택에는 함수의 매개변수, 호출이 끝난 뒤 돌아갈 반환 주소값함수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 등이 저장됩니다.이렇게 스택 영역에 차례대로 저장되는 함수의 호출 정보를 스택 프레임이라고 한다. 스택 프레임을 활용해 함수의 호출이 모두 끝난 뒤에 해당 함수가 호출되기 이전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C++에서 "Factory"는 객체를 생성하는 디자인 패턴의 일종입니다. 특히 어떤 클래스를 생성해야 할지 프로그램 실행 중에 결정해야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Factory 패턴이란?**Factory Pattern(팩토리 패턴)**은 객체 생성 코드를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하여,객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팩토리에서 생성하도록 하는 생성(Creational) 디자인 패턴입니다.✅ 왜 사용하나요?문제해결객체 생성 코드가 중복됨생성 로직을 한 곳에 모아둠코드가 특정 클래스에 종속됨의존성을 낮추고, 유연한 구조 설계런타임 중 어떤 객체를 만들지 결정해야 함조건에 따라 다른 객체 반환 가능// 1. 제품 인터페이스 class Product { public: virtual void use() = 0; vir..

확장자 명프로그램 유형.INI(initialization)텍스트 파일, 키와 값을 연결하여 설정을 저장한다. 각 설정은 '[섹션]'과 키 = 값 형태로 구성된다.ex : [Database] 섹션 안에 Server = 192.168.1.100과 같은 설정이 있을 수 있음사용 목적 : 프로그램의 설정, 시스템의 구성,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환경 설정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INI 파일은 메모장과 같은 텍스트 편집기로 편집 할 수 있다.유사 역할 : .cfg, .ini, .confUASSET(Unreal Asset Data)언리얼 엔진에서 에셋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확장자이다.언리얼 엔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요소들(머티리얼, 스태틱 메시, 텍스처, 파티클 시스템, 블루프린트, 사운드 큐 등)을 통틀어 에셋이..
CPU 속 레지스터들은 이름, 크기,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레지스터 이름역할프로그램 카운터 PC(program Counter)메모리에서 가져올 명령어의 주소, 메모리에서 읽어 들일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한다.명령어 포인터(Instruction Pointer) 라고 부르는 CPU도 있음명령어 레지스터 IR(Instruction Register)해석할 명령어, 메모리에서 읽어 들인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레지스터 속 명령어를 받아들이고 해석한 뒤 제어 신호를 내보냄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MAR(Memory Address Register)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CPU가 읽어 들이고자 하는 주소 값을 주소 버스로 보낼 때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를 거친다.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MBR(Memory Buffe..
CPU가 메모리에 접근하는 시간은 CPU의 연산 속도보다 느리다. CPU가 연산을 빨리 한다해도 메모리에 접근하는 시간이 느리면CPU의 빠른 연산 속도를 100%활용하기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 '캐시 메모리'이다. 저장 장치 계층 구조1. CPU와 가까운 저장 장치는 빠르고, 멀리 있는 저장 장치는 느리다.2. 속도가 빠른 저장 장치는 저장 용량이 작고, 가격이 비싸다. 레지스터 - 메모리 - 보조기억장치 CPU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메모리에 빈번하게 접근해야한다. CPU 연산 속도가 아무리 빨라도,메모리에 접근하는 속도가 따라가지 못한다면, 의미가 없기에 중간에서 저장하는 장치가 캐시 메모리인데,레지스터보다 용량이 크고 메모리보다 빠른 SRAM 기반의 저장 장치이다. 레지스..